무서운 속도로 백신 접종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 이러한 백신 접종으로 미국 경제는 얼마나 나아지고 있을까? 얼마나 코로나 이전의 경제로 회복되고 있을까? 이를 측정하는 흥미로운 지표를 알게 되어 소개해 본다. back to normal index라는 지표로 무디스와 cnn이 공동으로 만드는 지수라고 한다. 구글에 해당 인덱스 이름으로 검색하면 cnn이나 무디스 관련 페이지로 연결된다. 일단 홈페이지 상단에 제시된 지수에 대한 기본 설명부터 살펴보면
From your job to your home to your groceries, Covid-19 has disrupted nearly every aspect of life. This dashboard shows how the economy continues to change as we grapple with life during the pandemic. Check back regularly to see how America is recovering and adapting to a new normal.
-> 직장에서 집, 식료품에 이르기까지 코로나는 삶의 거의 모든 부분을 파괴했다. 이 대시보드는 우리가 삶과 씨름하면서 경제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보여준다. 미국이 어떻게 회복되고 새로운 노멀(정상)에 적응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체크해볼 수 있다.
홈페이지는 이러한 정상화 지수를 퍼센트로 수치화해서 보여주는데 (100%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한 것을 의미한다.) 미국 전체로는 현재 90% 정도 수준으로 회복했으며, 주별로 회복 정도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플로리다는 코로나 이전을 100% 회복한 반면 뉴욕주는 아직 79%의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주별로 어떻게 다른 회복 속도를 보이고 있는지도 홈페이지에 있는 상세 지도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경제 정상화 지수가 살펴보는 분야는 다양하다. 일자리, 집, 투자, 돈, 소비, 레저, 여행 이렇게 7가지 분야를 살펴보고 있다. 일단 일자리는 실업 청구, 실업률, 신규 일자리 채용 공고, 해고, 단축 근무 등으로 경제 정상화 정도를 살펴보고 있다. 집과 관련해서는 30년 모기지 금리를 살펴본다. 투자 분야에서는 다우 지수와 심리 지수(공포 등)를 알아보고, 돈에 있어서는 저축률과 개인 신용 빚 정도를 측정한다. 지출은 소기업 폐쇄 정도와 이커머스 거래량, 여가는 영화관 이용 정도, 여행은 여행자 수, 호텔 점유율, 가스 가격 등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호텔 점유율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1월 7일까지의 통계가 나와있는데 코로나 이후 4월에 최저치로 내려앉았고, 그 이후로 조금씩 회복하여 올해 1월에는 -17.20%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요를 많이 회복했지만 그래도 팬데믹 이전 수준은 회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통계를 확인함으로써, 투자에도 아이디어를 얻어볼 수 있다. 아직 호텔, 여행, 영화관 등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 이런 섹터는 아직 주가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물론 최근에 이러한 기대감을 선반영하여 주가가 많이 오르긴 했다.) 그리고 지금은 경제 정상화 지수가 90% 이지만 이 지표가 백 퍼센트에 도달하면 그때의 경제는 지금과 다를 것이고 테이퍼링 등도 진행될 수 있기에 주식 투자에 좀 더 신중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 특히 아직 일자리 지수는 코로나 이전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지수가 회복될 때쯤이면 정말 테이퍼링이 시작되지 않을까 싶기에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관심 있는 분들은 back to normal index를 검색해서 해당 페이지를 살펴보시길 추천!
'색다르게 월급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종목정보] 2차 전지 소재업체 천보 주가 및 정보 (0) | 2021.06.07 |
---|---|
[주식투자] 미국 3대 지수 125주년을 맞은 다우지수에 대해 (0) | 2021.05.28 |
[주식투자/ETF정보] 한화 아리랑(arirang) 고배당주 ETF 주가 및 분배금 (0) | 2021.05.26 |
[주식투자] 선물 옵션 동시 만기일 네 마녀의 날에 대하여 (0) | 2021.05.25 |
[미국주식/ETF정보] 국민연금이 매수한 PBUS ETF에 대하여 (0) | 2021.05.22 |
댓글